본문 바로가기

건강/건강

진통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부프로펜) - 1

대표적인 진통제 두 가지 성분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이부프로펜과 아세트아미노펜.

대표적인 진통제인데요, 이부프로펜의 대표적인 약은 게보린, 그날엔, 부루펜, 이지엔 식스, 캐럴 등 있고,

아세트아미노펜의 대표적인 약은 게보린, 이지엔 식스, 타이레놀, 판콜, 펜잘이 있습니다.

저 둘의 성분만 합쳐도 등록된 약이 1000가지가 넘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그만큼 찾는 사람도 많고, 약의 종류도 다양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내용이 길어질 것 같아 두 편으로 나눌까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둘 중 하나인 이부프로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부프로펜이란?

 

이부프로펜은 해열, 소염진통제입니다. 외상 후 진통, 감기로 인한 발열, 심지어 여드름 치료에도 쓰이는 등 굉장히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진통제로 사용되는 경우 치료의 용도가 아닌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정도이므로 용량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부프로펜의 효능 및 효과

 

외상 및 수술 후 통증이나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고, 감기로 인해 발생되는 고열, 통증을 가라앉히는 역할을 합니다.

그 외 관절염, 류머티즘 관절염 등 만성질환의 장기적인 치료로도 사용됩니다.

크림으로 된 제품이 있는데 대표적인 제품은 여드름 치료제입니다. 

이부프로펜의 성분 중 효능으로써 여드름의 치료에도 효능이 있습니다.

 

 

이부프로펜 부작용

 

 

헤모글로빈 감소, 간수치 상승, 상복부 통증, 속 쓰림, 구토, 복부팽만, 변비, 식욕감소, 설사, 소화불량, 어지러움, 두통, 신경과민, 가려움증, 빈혈, 이명 등 있습니다.

바르는 크림 제품에서는 드물게 접촉성 피부염의 부작용이 있고, 그 외 가려움, 건조, 화끈거림 등 있습니다.

 

이부프로펜 주의사항

 

소아, 청소년 복용 시 주의하여야 하며, 특히 2세 미만 소아에게 시럽으로 된 약을 먹일 때 주의하여야 합니다.

고령자 또한 생리적 기능이 비교적 저하되어있기 때문에 관찰이 필요합니다.

임산부에게는 태아의 동맥관을 조기 폐쇄시킬 수 있으므로 말기의 임산부는 복용을 않아야 합니다. 임산부에 대한 위의 약 복용 시 안전한 지에 대한 결과는 확실하지 않으므로 임신 가능성의 여성 또는 임산부는 피하는 게 좋습니다.

또한 바르는 연고에서도 태아의 동맥관의 수축 반응이 되었다는 보고도 있으므로 조심하여야 합니다.

약의 성분이 모유로도 전달되기 때문에 아이에게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유를 중단하여야 합니다.

또한 고혈압을 악화시키고, 부종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끝마치며,

우리가 흔히 두통이나 어떤 부분이 아플 때 복용하는 진통소염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약은 낫게 해 주는 약이 아닙니다. 통증의 원인을 치료하는 게 아니라, 증상을 완화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복용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생리통 때문에 빈번하게 복용하는 사례가 있는데 간혹 인터넷에 내성이 생겨 다른 약을 복용하는 글을 보곤 했습니다.

이부프로펜으로 인한 내성이 생기는 일은 드뭅니다. 웬만하면 통증이 더 심해진 것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항상 제 블로그 포스팅의 철칙은 흔히 알고 있는 약이더라도 알고 먹자!라는 게 제 철칙입니다.

항상 모든 구독자 분들이 건강해지는 그날까지 함께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이 글을 읽고 도움이 되거나 공감하셨다면 밑에 공감 버튼 눌러주세요^^!

그리고 잘못되었거나 수정할 부분 있다면 밑에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